레이블이 lectur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lecture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10월 28일 토요일

[강연] 불나방 페미 연대기 여성운동의 역사가된 6개의 순간들

민우회 30주년 기념 릴레이 강연 
불나방 페미 연대기 여성운동의 역사가된 6개의 순간들 
(10분씩 6개의 강의로 구성된 강연)


강주룡. 평양 고무공장에서 고공농성을 하고 파업을 이끌었던 이 사람을 기억하는가? 조선인 여성 노동자의 임금은 조선인 남성 노동자 임금의 1/2, 일본인 남성 임금의 1/4였다그마저도 공장주가 깎으려고 하였다그래서 12미터 상공 지붕에 올라갔었다.

독립운동에도 주체적으로 참여한 대한 부인회도 존재했다.


60년대에는 2천여명이 한번에 거리에 나왔던 적도 있었다축첩제를 반대하며 거리에 나와서 아내를 밟는 자는 나라를 밟는다고 외치며 축첩을 둔 남성이 국회진출하는 것을 반대하는시위를 하였다.

70년대는 노동운동 자체가 활발했고 중심에 여성노동자가 있었다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의 투쟁 사진직장내 폭력임금차별,등에 싸웠다.

87년 민주화열기에는 여성들이 국가폭력 반대하여 최루탄 추방 대회성희롱 최초 고발한 서울대 여성 조교 이야기아이엠에프 여성 우선 해고제에 반대한 것, ktx여승무원들 까지 싸우는 여성들의 순간은 계속해서 이어져오고 있다.



최근에는 거리에서 강남역 살인사건낙태죄 폐지성평등이 민주주의의 완성이라고 선언하기도 하였다.


이미 우리의 많은 움직임이 여성운동 역사의 한 장면이다.

본격적으로 여성계의 장면으로 들어가보자.


목    차


각 제목을 클릭하면 각 장으로 이동합니다. (새창보기)

첫번째 순간, 

두번째 순간, 

세번째 순간, 

네번째 순간, 

다섯번째 순간, 

여섯번째 순간, 

마지막 순간
Q&A 세션



민우회 관련 링크 : http://www.womenlink.or.kr/minwoo_actions/19312

Share:

2017년 9월 19일 화요일

[강의] 페미니즘 언어철학 기초 / 유민석

< 페미니즘 언어철학 기초 > 강의 기록

사진 출처 : 말과 활 아카데미

강의자 유민석


기록자 : 김민기 (참고 : 기울어짐은 개인적 낙서)

강의소개

이 강좌는 ‘페미니즘 언어철학’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언어에 대한 페미니즘적인 개입과 페미니즘 언어철학의 기초에 대해서 꼼꼼히 살펴보고자 한다. 언어에 있어서의 젠더 중립성이란 무엇인지, 성-표지(sex-marking)란 무엇인지, 언어의 남성중심성은 무엇인지, 페미니스트들은 이에 어떻게 개입해 왔는지, 여성에 대한 혐오발언은 어떻게 기능하며 이에 대한 의미변화는 또 어떻게 가능한지 등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페미니스트 언어철학자 제니퍼 사울의 논문 「페미니즘 언어철학」과 페미니스트 언어철학자 제니퍼 혼스비의 논문 「언어철학에서의 페미니즘」을 중심 교재로 강독할 예정이다. (출처)

목차 (강의 제목을 클릭하면 각 장으로 이동합니다.)

Share:

2017년 2월 4일 토요일

[강의] 법철학

법철학


*이 문서 타래는 2016년도 2학기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3학년 2학기 전공과목인 법철학 과목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A. 강의 교수님

이상영 교수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법학과)
김도균 교수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B. 과목의 개요 및 목표

법철학은 법학에 대해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그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그래서 개별학문인 법학이 멈추어서는 그 지점에서 출발하며, 풍부한 논의를 담고 다시 법학으로 돌아오게 된다.


C. 강의 목차

*각 회차의 제목 클릭시 새창보기


1. 법철학은 무엇인가 2. 법철학을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1. 왜 법의 지배인가 2. 어떤 법의 지배인가 3. 법의 어떤 지배인가 4. 공적 이성의 지배로서 법의 지배

1. 법규범의 두 유형 2. 관습법과 조리

1. 법실증주의의 기본주장과 형성과정 2. 켈젠의 순수법학

1. 자연법에서 ‘자연’의 의미 2. 자연법의 역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 3. ‘상위규범’ 패러다임? 4. 자연법론의 기본원리들

1. 자연법론의 기본 테제 : 법실증주의에 대한 비판 2. 법실증주의의 자연법론에 대한 반박 3. 다시 자연법론의 재반론 4.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의 과제

1. 법효력의 개념 2. 법효력의 세 차원 3. 법효력론의 유형 4. 법효력 차원들 사이의 충돌 5. 법효력의 판단기준 6. 법복종의 의무와 시민불복종

1. 법과 도덕은 어떻게 구별되는가 2. 법과 도덕의 현실적 관계 3. 법과 도덕의 규범적 관계

1. 법과 전통윤리 2. 전통윤리의 법적 보호 및 강제와 법의 중립성

1. 법해석 2. 법해석의 방법 3. 법형성적 해석 3. 진보적 법사상

1. 권리 일반론 2. 기본적 권리로서의 인권 3. 인권의 내용과 유형 4. 법성찰과 전망

1. 자유의 의미와 개념 2. 자유담론의 공통구조 3. 불간섭으로서의 자유를 바라보는 자유론 4. 비예속상태로서의 자유 5. 한국법체계의 자유론 국가사회주의

1. 정의의 문제 2. 정의개념과 정의의 기준

1. 평등지향적 자유주의 정의론 2. 공동선으로서의 정의

1. 세계화 시대와 초국가적 법의 등장 2. 법철학과 규범적 사고

Share:

Categories

Popu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