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2월 11일 월요일

[the Atlantic] 창조성의 어두운 측면

1. 분야 : 심리학 
2. 요약 : 똑똑하고 싸이코패스성향 가진 사람들이 창의적이다. 그러나 창조성은 부정적 목적을 가질때 예상치도 못한 창조적인 방법으로 타인에게 해악을 가져올 수 있다. 창조성이 늘 긍정적인 목적만을 가지고 발현되는 것은 아니니 주의하여야 한다는 심리학자들의 소프트한 연구
3. 재미 : ★★☆☆☆
4. 유익성 : ★☆☆☆☆
* 이 글은 the Atlantic에 2019년 2월 10일 게재된 글 "The Dark Side of Original Thinking (새창보기)"을 러프하게 번역한 글이다.


[ 창조성의 어두운 측면 ]


작성자 : 한시카 카푸어 HANSIKA KAPOOR 
(뭄바이의 Monk Prayogshala연구소의 심리학자이자 연구자)

Lying and cheating might be indispensable in planning a surprise party, or a surprise heist. Is creativity always a moral good?

거짓말과 속임수는 깜짝 파티를 계획하거나 몰래 강도짓을 계획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요소다. 창의력은 언제나 도덕적인 선인가?

Suppose you forgot it was your partner’s birthday, but you know that they would appreciate the smallest of gestures, say, a bouquet. It’s late at night and no florists are open. The cemetery on your way home has recently had a funeral, and you walk across the site and pick up a good-looking bouquet of roses from someone’s grave. You then head home, and the flowers are happily received by your partner.

당신의 파트너의 생일 이었음을 잊어 버렸다고 가정 해 보자. 그러나 당신은 그들이 가장 작은 제스처, 예컨데, 꽃다발이라도 고맙게 여길 것을 알고 있다. 늦은 밤엔 꽃집이 열리지 않는다. 집으로가던 중에 본 묘지는 최근에 장례식이 치러졌고 당신은 그 장소를 가로 질러가 누군가의 무덤에서 예쁘게 생긴 장미 꽃다발을 가져온다. 그런 다음 집으로 향한다. 꽃은 파트너가 행복하게받는다.

Would you say that you hurt anyone?

This isn’t so much a moral dilemma as it is a creative misbehavior. More specifically, it is an instance of the dark side of creativity—the side that few people acknowledge or talk about. Variously referred to as malevolent or negative, dark creativity uses the creative process to do something socially unappealing and guided by self-interest. You might not intend to harm someone else, yet harm is often a byproduct of your actions. In the instance above, you found an original solution (stealing flowers from a graveyard) to a problem (upset partner) that was effective (happy partner).

That is what makes up the crux of creativity—originality and effectiveness in behavior.

당신(의 이 행동)이 누군가에게 상처를 준 거라고 생각할 것인가?

이는 창의적으로 싸가지없는 행동을 한 것뿐이라 심각한 도덕적 딜레마는 아니다. 상술하자면, 아주 소수의 사람들이 인정하거나 이야기할 뿐인 창의성의 어두운 측면의 사례다. 악의적인 또는 부정적인, 어두운 창조성이라고하는 흑화된 다양성은 창조적인 과정을 통해 사회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고 다만 자기 이익에 이끌리는 일을 한다. 다른 사람에게 해를 입히려는 의도는 아니었겠지만, 대개 이런 행동의 부산물로 피해를 발생시킨다. 위의 사례에서, 당신은 이 창의적인 해결책 (묘지에서 꽃을 훔치는 것)이 문제 (화가 파트너) 의 효과적이라는 점을 (행복한 파트너) 발견했다.

그것이 창의성의 핵심 - 행위의 창조성 및 효과성을 구성한다.

But can we call such an act truly creative? For one thing, it violates moral codes of conduct (stealing); for another, it involves deception (omitting the truth about where you got the flowers).

그러나 그러한 행동을 진정 창조적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우선, 그것은 도덕적 윤리 강령 을 위반한 것(도둑질)이다. 다른 면으로는 속임수도 포함되어있다. (당신이 꽃을 얻은 곳에 관하여 진실을 생략한 것이기에).

Laypersons and academics alike have largely viewed creativity as a positive force, a notion challenged by the philosopher and educator Robert McLaren of California State University at Fullerton in 1993. McLaren proposed that creativity had a dark side, and that viewing it without a social or moral lens would lead to limited understanding. As time went on, newer concepts—negative and malevolent creativity—included conceiving original ways to cheat on tests or doing purposeful harm to others: for instance, innovating new ways to execute terrorist attacks.

평범한 사람들과 학자들은 대체로 창조성을 긍정적인 힘으로 보았지만 1993년 풀러튼 (Fullerton)의 캘리포니아 주립 대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로버트 맥 라렌 (Robert McLaren)이 의문을 제기하였다. McLaren은 창조성이 어두운 면을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또는 도덕적 관점이 결여된채로 분석하면 제한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이라고 논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정적이고 악의적인 창의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은 테스트에서 컨닝을 하거나 타인에 대한 의도적 인 해를 끼치는 독창적인 방법을 생각해내는 것, 예를 들어 테러를 행할 참신한 방법을 혁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 되었다.

Take a situation where you want to go to an event but the tickets are sold out. A creative person predisposed to deception and moral flexibility might come up with a solution involving bribing guards or pretending to be an organizer at the event. On the other hand, another creative individual with a more positive mindset might suggest creating a social-media campaign, for or against the event, to gain traction, recognition, and subsequently, entry into the event.

이벤트에 가고 싶지만 티켓이 매진 된 상황을 생각해보라. 속임수와 도덕적 유연성에 영향받기 쉬운 창조적인 사람은 경비원에게 뇌물을 주거나 행사의 주최자인 척하는 해결책을 생각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보다 긍정적인 사고 방식을 가진 또 다른 창조적인 사람은 그 행사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소셜 미디어 광고를 만들어 권력을 획득하고 인지도를 쌓고 그 후 행사에 참석할 기회를 얻을 것이다.

The question for me and my academic adviser, the psychologist Azizuddin Khan at the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at Bombay, was whether both solutions should be used, and whether both are truly creative. We looked at the problem through what psychologists call the “four Ps” of creativity—person (the individual engaging in the act), process (the strategy employed), product (the creative outcome itself), and press (the situation at hand). After a series of five experiments, we concluded that negative creativity (product) is most likely to be displayed by highly intelligent persons, with subclinical negative personality traits such as psychopathy, especially in open-ended situations where deception can succeed. When creative people had a negative, morally questionable goal up front,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lie.

나와 나의 스승인 봄베이의 인도 공과 대학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의 심리학자 인 Azizuddin Khan의 질문은 두 가지 해결책을 모두 사용해야하는지, 둘 다 진짜 창의적인지 여부에 관한 의문이 들었다. 우리는 심리학자들이 창의성의 "4 가지 P들" 이라고 말하는 요소로 문제를 들여다보기로 했다. 그 요소는 사람(행동에 참여하는 개인), 프로세스 (채택된 전략), 결과물 (창조성의 결과 자체) 및 동력 (현재의 상황)이다. 일련의 다섯 가지 실험을 거친 결과 우리는 부정적인 창의력 (결과물)이 사이코패스와 같은 준임상적으로 부정적인 성격 특성을 가진 고도로 지적인 사람에 의해서, 특히 속임수가 성공할 수있는 자유로운 상황에서 가장 잘 발현 될 수 있다고 결론 지었다. 창조적인 사람들이 부정적이고 도덕적이지 않은 목표를 가지고 있을 때, 그들은 또한 거짓말 할 가능성이 크다.

We confirmed that the dark side of creativity exists, and is one that it’s important to acknowledge and understand. People can get hurt in surprising and original ways by practitioners of this dark craft. And, just as important, an entire set of misbehaviors with the potential to help us learn more about human creativity may be going unnoticed and ignored.

우리는 창조성의 어두운 측면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은 이 어두운 기술을 가진 장인들에 의해 놀랍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해를 입을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중요한점은, 우리가 인간의 창의력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있는 잠재력을 지닌 일련의 못된 행동들이 눈에 띄지 않게되고 무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What if, after knowing that the dark side exists, we consciously try to use it? Is that really always bad? Khan and I think it depends. Perhaps we won’t lie to get into a theater—but what if a surprise birthday party for a friend requires sly and crafty planning, coordination, and a great deal of deception and misdirection? Can we then channel our dark energies to bring joy to others? Sure; but this can become a slippery slope. If the goal switches to planning a surprise theft, the same skills can harm others.

어두운면이 있다는 것을 알고 우리가 그래도 의도적으로 그런 행동을 하려고 한다면 어떨까? 그게 항상 나쁜 일일까? Khan과 나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우리는 극장에 들어가려고 거짓말을 하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친구를 위한 깜짝 생일 파티가 영민하고 교묘한 계획, 조정, 기만과 오해들이 많이 필요하다면 어떤가? 우리는 어둠의 에너지바꿔서 다른 사람들에게 기쁨을 가져다 주도록 수 있을까? 당연하다; 그러나 이것은 미끄러운 경사가 될 수 있다. 목표가 몰래 강도짓 하는 것으로 바뀐다면 그 같은 능력은 다른 사람들을 해칠 수 있다. 

The dark art has been here all along. Just consider some innovative advertising campaigns deriding a competitor’s product in favor of one’s own: The cola wars, the burger wars, and the coffee wars are all notorious for hinting at the competition’s lower quality, with direct or indirect references. Is this dark? Sure; it’s an underhand way to get through to your undecided consumer. Is it creative? Of course! Should it be used? Definitely—it’s meant to increase your profit in a competitive world.

이 어둠의 테크닉은 계속 우리 곁에 있었다. 콜라 전쟁, 버거 전쟁, 커피 전쟁 같이 모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경쟁사의 저품질에 대해 힌트를 주는,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경쟁자의 상품의 가치를 깎아내리는 창의적인 광고들을 생각해보라. 어두운 면으로 보이는가? 그렇다; 이는 마음을 정하지 못한 소비자에게 다가가는 것은 쉬운 방법이다. 창조적인가? 당연하지! 그것을 사용해야하는가? 확실히 경쟁 세계에서 수익을 높일 방법이긴 하다.

Dark humor should take a bow, as well. To be able to come up with a dead-baby joke, one needs not only a punchline, but a macabre one. To be able to laugh at such a joke, one needs to have a strong stomach and keep moralistic thinking at bay. The now-infamous comedian Louis CK used black comedy in his acts as well as his namesake television show. His work was disturbing yet, according to fans, hilarious—until he went too far, joking about high-school students massacred with guns. One can argue that dark humor has the potential to psychologically harm others—but dark jokes made with intent to elicit laughter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means and ends in creative pursuits.

어두운 농담도 마찬가지로 이 논의의 대상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죽은 아기의 농담을 생각해 낼 수 있으려면 펀치라인뿐만 아니라 잔인성도 필요하다. 그런 농담을 웃을 수 있으려면 비위가 강하고 도덕적인 생각을 잠깐 잊어야 한다. 요새 악명 높은 코미디언 루이 CK (Louis CK)는 그의 행동에 블랙 코미디와 그의 이름을 딴 TV 쇼를 사용했다. 그의 작업들은 마음을 심란하게 하지만, 팬들에 따르면, 너무 나가서 총기 난사로 사망한 고등학생에 대한 농담을 하는정도까지가 아니라면 아주 재미있다고 한다. 어두운 유머는 다른 사람들을 심리적으로 해칠 잠재성이 있다고 주장 할 수 있지만, 웃음을 이끌어 내기위한 의도로 만들어진 어둠의 농담은 창의적이려는 그 과정의 의미와 한계를 구별하는 일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What Khan and I found in our research is that no matter what type of creative misbehavior you engage in, someone might get hurt. It is the extent of harm compared with the benefit that we must figure out. Negative behaviors can disrupt society, but disruption sometimes is good. That said, our study of dark creativity has led to more questions than clarity across a number of domains. How does one classify ethical hacking? Should we applaud new methods of suicide as creative? What degree of harm is required as a byproduct of a creative act for it to be called dark? Should we reject negative creativity if self-benefit is the primary goal? And is there really a distinction between a negatively and a positively creative person—or are they just the same people compelled by different circumstances in life?

Khan과 내가 연구에서 발견 한 것은 당신이 어떤 유형의 창조적 인 행동을 하던지, 누군가가 다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하는 점은 그런 행위로 다른 사람에게 가할 해악과 얻어질 이득이다. 부정적인 행동은 사회에 혼란을 줄 수 있지만 때로는 혼란이 좋을 수도 있다. 즉, 어두운 창조성에 대한 우리의 연구는 여러 영역에 걸쳐 문제를 명확히 하기 보다는 많은 의문을 불러 일으켰다. 윤리적 해킹을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 우리는 자살의 새로운 방법을 창의적이라고 박수보내야 하는가? 어두운 면을 가졌다고 말하려면 어떤 정도의 해악이 창조적인 행동의 부산물로 창출되어야 하는가? 자기 이익이 주요 목적이라면 부정적인 창조성을 거부해야하는가? 그리고 부정적으로 창의적인 사람과 긍정적으로 창조적인 사람 사이에는 정말로 구별이 있을까? 아니면 인생에서 다른 상황에 처해있을 뿐인 똑같은 사람들인가?

McLaren’s argument emphasized that creativity, like all human endeavors, had the potential to bring about unchecked harm. But all said and done, it’s up to us how we wield it.

McLaren의 주장은 모든 인간 행위들과 마찬가지로 독창성이 확인되지 않은 피해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이제 다 알 게 되었으니, 우리가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우리에게 달려 있다.
Share: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

Categories

Popular Posts